카테고리 없음

어금니 깨짐 수복한다면

이니 마르 2023. 5. 25. 09: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금니 깨짐 알아보려고 해요. 부러지고 깨진 치아 무조건 임플란트를 해야 되는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 간단하게 좀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단단한 걸 잘못 먹는다든지 아니면 별다른 이유 없이 갑자기 이가 부러졌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 대체로는 밥 먹다가 돌을 씹었다라고 생각할 때 아니면 예전에는 잘 씹었던 게껍질을 씹다가 갑자기 어금니 깨짐 겪어보실 수 있습니다.

 

 

 

 

각 경우에 따라서 단 한 가지의 치료 방법이 있는 건 아니고 어느 정도 깨졌는지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좀 차이가 있어요. 치아 머리 부분을 치관이라고 하고 치아 뿌리부분을 치근이라고 하는데요. 어금니 깨짐 다른 방법으로는 치아의 각 층에 따라서 나누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깥쪽에 단단한 껍질을 법랑질이라고 부르고, 중간에 치아 속 재질을 상아질이라고 부르고 치아 신경이 있는 안쪽 부분을 치수라고 표현을 합니다. 어금니 깨짐 그래서 법랑질만 파절 혹은 상아질까지 파절 치수까지 노출된 파절 이렇게 구분을 하기도 해요. 그 각 경우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조금 차이가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말씀을 드릴게요. 

 

 

 

 

일단 치아 끝부분이 아주 조금만 딱 깨진 경우에는 앞니나 이런 쪽이 아니라면 그냥 부드럽게 다듬어서 쓰는 경우들이 일반적이에요. 아주 조금 깨졌는데 이렇게 뾰족한 부분을 뭔가 매우는 치료 흔히들 얘기하는 때우는 치료를 했을 때 생각보다 금방 떨어지는 경우들이 있어서, 아주 작게 깨진 경우에는 우리가 치아 사용을 하면서 일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 그냥 부드럽게만 다듬어서 쓰는 게 추천드리는 방법이고 어금니 깨짐 치료라면 인레이나 크라운 치료 등을 할 수가 있습니다.

 

 

 

 

크라운 치료는 붙여주는 인레이치료로도 진행이 어려울 때에, 치아 전체에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씌워주는 거예요. 치아 신경까지 다치게 된 경우라면 어쩔 수 없이 신경 치료까지 들어가게 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치아를 싸주는, 감싸주는 크라운 치료로 치료를 종료하게 마무리가 필요합니다.

 

 

 

 

신경치료 후의 치아 상태는 매우 약하고 수분도 없이 퍼석한 상태이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크라운치료를 해주고 있어요. 이 목적뿐만 아니라, 양옆 치아와의 저작력을 회복시켜주어 음식을 잘 씹게 해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