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깨진 어금니 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치아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단단하지 않습니다. 뜻하지 않은 충격 혹은 단단한 음식을 먹을 때 쉽게 깨져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어요. 치아 파절은 치아가 깨지는 걸 말하는데요. 치아 파절이 일어났을 때 어떻게 파절되고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치아와 영영 이별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깨진 어금니 맞딱뜨렸을 때는 무엇보다 빠르고 올바르게 행동해야 합니다. 우선 치아가 깨진 경우에는 파절되어 떨어져나간 치아가 상황에 따라서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우유 등에 깨진 치아를 보존해서 가져가는 것이 좋을 수 있어요. 치아는 외상처럼 소독약이나 연고를 바르는 응급 처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과에 빨리 가는 것이 가장 좋은 대처법입니다.
우리가 치과에 가서 어떤 치료를 받게 되는지 미리 알아두면 능동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아 파절의 치료는 깨진 어금니 가 어떻게 깨졌냐에 따라서 치료 방법을 나눌 수 있는데요. 치료에 앞서 치아 구조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하는데 치아는 단단한 법랑질과 조금 무른 성질의 상아질 그리고 우리가 흔히 신경이라고 부르는 치수로 이루어져 있어요.
우선 법랑질까지 깨졌을 경우 증상은 크게 없으며 깨짐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간단하게 깨진 어금니 부분과 주변을 다듬어만 줄 수 있어요. 두 번째는 레진 치료가 있어요. 레진은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혼합물질입니다. 레진은 빛을 쬐면 굳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로 치아의 빈 공간에 레진을 채우고 빛을 비춰 굳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법랑질을 지나서 상아질까지 깨진 경우에는 어떻게 치료할까요. 이때에는 깨진 어금니 에 시리고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먼저 레진 치료를 진행할 수 있고 레진으로는 어려운 경우 인레이와 온레이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법랑질, 상아질을 떠나서 치수까지 노출이 되도록 깨진다면 우선적으로 통증이 매우 클 수 있어요.
만약 치아를 살릴 수 있다면 신경 치료 후에 크라운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아 뿌리가 매우 심하게 손상이 온 경우에는 발치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할 수 있어요. 임플란트는 치아가 없어졌을 때 본래의 치아 모습과 같게 하는 가장 최적의 치료입니다. 환자의 건강과 치아 상태에 따라 시술할 수 있는 안정성이 입증된 방법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